title 시도들
type 에세이, 등장하는 건축가들 6
year 2025. 2. 28
포럼 2024. 7. 10~31
포럼 진행 심미선, 박세미
기획 정림건축문화재단
참여 건축가 김명준, 사울 킴, 오연주, 이윤석, 이희준, 전재우, 정해욱, 허성범
참여 필자 박세미
원고화 심하늘, 심미선
편집 심미선
type 에세이, 등장하는 건축가들 6
year 2025. 2. 28
포럼 2024. 7. 10~31
포럼 진행 심미선, 박세미
기획 정림건축문화재단
참여 건축가 김명준, 사울 킴, 오연주, 이윤석, 이희준, 전재우, 정해욱, 허성범
참여 필자 박세미
원고화 심하늘, 심미선
편집 심미선
신진 건축가 초대의 장 <등장하는 건축가들>은 2024년 여섯 번째 시즌에 건축을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하고 있는 여덟 명의 건축가를 만났습니다. 포럼은 이들의 모든 활동을 아우르는 건축적 주제, 아이디어와 이를 어떻게 지속해 왔는지에 집중했습니다. 이들은 ‘나는 어떤 건축가인가’, ‘나에게/우리에게/이 시대의 건축이란 무엇인가’를 묻고 답하며 지금 자신의 건축을 정리하여 소개했습니다.
건축신문은 이 시간을 기록하기 위해 여덟 명 각자에게 맞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김명준, 사울 킴, 오연주, 정해욱은 포럼을 텍스트로 옮겨 기록했으며, 전재우는 포럼 영상을 그대로 남겼습니다. 이윤석, 이희준, 허성범은 포럼을 거치며 다듬어진 생각을 글로 썼습니다. 이 책을 통해 젊은 세대가 스스로 규정하는 건축적 행위, 표현, 매체로부터 그들의 건축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가 건축이라는 영역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건축신문 책 정보 글 중)
“결과로써의 건축물만 바라보는 건축가들, 과정으로서의 공간을 정의하는 정치인들, 자본주의라는 개념을 방패삼아 투기에 가담하는 개인과 사회... 이 모두를 초대해 연결하고 봉합해 보려 했다. (그리고 당연히 실패했다.)” (시도들 중)
건축신문에서 전문 읽기 🔍
건축신문은 이 시간을 기록하기 위해 여덟 명 각자에게 맞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김명준, 사울 킴, 오연주, 정해욱은 포럼을 텍스트로 옮겨 기록했으며, 전재우는 포럼 영상을 그대로 남겼습니다. 이윤석, 이희준, 허성범은 포럼을 거치며 다듬어진 생각을 글로 썼습니다. 이 책을 통해 젊은 세대가 스스로 규정하는 건축적 행위, 표현, 매체로부터 그들의 건축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가 건축이라는 영역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건축신문 책 정보 글 중)
“결과로써의 건축물만 바라보는 건축가들, 과정으로서의 공간을 정의하는 정치인들, 자본주의라는 개념을 방패삼아 투기에 가담하는 개인과 사회... 이 모두를 초대해 연결하고 봉합해 보려 했다. (그리고 당연히 실패했다.)” (시도들 중)
건축신문에서 전문 읽기 🔍

title I 서브스턴스 U
type 에세이
year 2025 2월호
author 이윤석
publish 월간디자인, 디자인하우스
type 에세이
year 2025 2월호
author 이윤석
publish 월간디자인, 디자인하우스

정치가 무력해진 곳에서 디자인과 예술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장 바티스트 르노는 프랑스 대혁명기에 “나에게 자유를 달라, 아니면 죽음을!”이라는 자코뱅당의 슬로건을 그림으로 표현했고, 페르난도 보테로는 정치적 타락으로 일관해온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파쇼 독재를 풍자하는 우스꽝스러운 초상화를 그렸다. “전쟁은 끝난다, 그대들이 원한다면”이라고 외친 존 레넌과 오노 요코의 평화 선언은 100여개의 언어로 번역되어 아트 프로젝트로 거듭나기도 했다.
비상계엄의 선포와 해제, 탄핵으로 시절이 하 수상했던 지난해 연말 한국의 그래픽 디자이너들은 1960년대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시국 선언문의 단어와 문장을 발췌해 포스터를 디자인했다.
월간 <디자인> 560호는 이처럼 시대를 관통한 정신에 깃들어 있는 시각언어를 톺아보며, 우리가 보편적이고 중립적이라고 여겼던 디자인에도 어떤 정치적 가치가 담겨 있었다는 것을 되돌아보고자 한다. (월간 <디자인> 편집부 기획의 글 중)
“요즘 도시와 건축에서 배제와 차별은 한층 은근한 방식으로 보이지 않게 도시를 장악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이 한 번도 중립적이었던 적이 없었음에도 중립적이라는 인상을 주는 이유이다.” (I 서브스턴스 U 중)

title 체크무늬 벽과 서로를 의식하는 작품들
type 전시공간 디자인
size 430m²
material 합판, 다루끼, MDF, 알루미늄 프로파일, 원형 강관 등
year 2024
team 이윤석
모형 제작 이영지, 진연환
제작 및 설치 디오션
exhibition 건축의 장면
location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curation 방소연 큐레이터, 황혜주 코디
status 전시중(2024.11.22~2025.6.1)
photography 이윤석
type 전시공간 디자인
size 430m²
material 합판, 다루끼, MDF, 알루미늄 프로파일, 원형 강관 등
year 2024
team 이윤석
모형 제작 이영지, 진연환
제작 및 설치 디오션
exhibition 건축의 장면
location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curation 방소연 큐레이터, 황혜주 코디
status 전시중(2024.11.22~2025.6.1)
photography 이윤석

전시공간 디자인은 영상 작품들을 통해 “건축을 매개로 맺어지는 관계들을 새롭게 바라보고자”한다는 전시의 의도를 고려했다. 전시장에 세워졌다가 버려지는 아주 일반적인 벽을 재구성해 거리, 방향과 시퀀스에 따라 다른 관계로 엮이는 작품 간의 공간을 계획했다. 벽이면서 가구이고, 그래픽이면서 공간이고, 밀어내면서 초대하는 것을 만들었다.





















title oooe 4권. 일상의 발명가들:
이윤석과 『광장』 그리고 실리콘 쏘는 법
type 출판
year 2024
author 이윤석
sound design 임희주
publish 워크룸프레스
type 출판
year 2024
author 이윤석
sound design 임희주
publish 워크룸프레스
oooe는 워크룸 프레스에서 펴내는 사운드 시리즈입니다. oooe는 말과 소리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책’을 만듭니다.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와 음악가가 ‘지은이’와 ‘디자이너’로서 oooe를 쓰고 디자인합니다. oooe는 열거하고, 대화하고, 제안하고, 나눕니다.
“건축물은 보통 수다스러운 편입니다. 거리를 걸어 다닐 때면 아주 시끄럽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그들은 누군가 자기를 알아봐 주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입은 어떻고, 눈은 어떻고, 등짝은 어떤지 할 말이 많아요. 그런 건축물들과 안부를 주고받는 일에 특별한 지식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럴 때면 그의 표면을 쓰다듬어 봅시다.”(3장 이윤석의 ‘제안들’: 건축물을 만져 봅시다)
“이제 실리콘을 쏘겠습니다. 자신감과 편안한 자세를 준비합니다. 노즐 끝을 도포할 부분의 한쪽 끝에 대고 실리콘건의 방아쇠를 일정한 힘으로 당겨 줍니다. ‘F=ma’를 손끝으로 느낍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양의 실리콘이 나올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자신감이 중요한 것입니다.”(4장 이윤석의 ‘사용중’: ‘실리콘 쏘는 법’)
워크룸프레스에서 구매하기 🔍
“건축물은 보통 수다스러운 편입니다. 거리를 걸어 다닐 때면 아주 시끄럽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그들은 누군가 자기를 알아봐 주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입은 어떻고, 눈은 어떻고, 등짝은 어떤지 할 말이 많아요. 그런 건축물들과 안부를 주고받는 일에 특별한 지식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럴 때면 그의 표면을 쓰다듬어 봅시다.”(3장 이윤석의 ‘제안들’: 건축물을 만져 봅시다)
“이제 실리콘을 쏘겠습니다. 자신감과 편안한 자세를 준비합니다. 노즐 끝을 도포할 부분의 한쪽 끝에 대고 실리콘건의 방아쇠를 일정한 힘으로 당겨 줍니다. ‘F=ma’를 손끝으로 느낍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양의 실리콘이 나올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자신감이 중요한 것입니다.”(4장 이윤석의 ‘사용중’: ‘실리콘 쏘는 법’)
워크룸프레스에서 구매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