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초대하는 집
type 인테리어
size 72
location 서울 목동
year 2024
team 이윤석
status 완공

photography 이윤석
construction 이윤석
드나드는 것이 좋은 집을 상상했다. 일과를 마치고 귀가해 들어오는 것이, 초대받아 들어서는 것이, 안과 밖이 연결되는 것이 좋은 집이다.

그런 집을 위해 편리한 문 말고 설레는 문을 만들었다. 만화영화에 나오는 문들 처럼 조금 무겁고, 힘으로 밀어야하며, 불투명한 문이다. 삼단으로 부드럽게 접히고 열리는 편리한 문은 아니지만 열고 닫는 이들의 일상적인 행위를 기념하는 문이다. 묵직하게 열리는 감각, 작은 창 너머로 일렁이는 움직임같은 것들이 분리하지 않고 연결한다.

그런 문이 달린 벽들은 막는 대신 드러낸다. 하얀 벽지로 덮어버리기 전에 멈춰 합판을 노출했다. 이 벽에서 흔적은 더이상 흠이 아니다. 액자를 걸기 위해 박았던 못, 손에서 튕겨져나간 연필이 만든 자국, 나무 표면의 제멋대로인 옹이와 변형은 벽에 새긴 나의 시간이다. 벽 위로 흐르는 광택은 창밖 풍경을 벽으로 옮긴다. PVC창호 아래 놓은 벤치는 창밖으로 거실을 이끈다. 집의 이모저모가 초대한다.




















    



title 연결하는 집: 대안적 삶을 위한 건축  
type 전시
size 3D 모형 제작 및 건축 도면 가공
material PLA, 3D 프린트 
year 2024
team 이윤석, 이영지, 진연환, 구봉진

exhibition 연결하는 집: 대안적 삶을 위한 건축
location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curatior 정다영
coordinator 이정원, 안세은
exhibition design 김용주, 윤지원, 허은지
status 전시중(2024.7.19~2025.2.2)
photography 이윤석


글 쓰는 중...















title 메쉬-타프-스크린
type 설치
size dimension variable
material 혼합 재료
year 2024
team 이윤석
기술조언 및 작품 설치 진연환, 이영지

exhibition 도시시도
location 로얄엑스 R2 겔러리
curation 푸시투엔터
status 전시중(2024.4.12~2024.12.12)
photography 이윤석

<메쉬-타프-스크린>은 건축 영상을 영사하기 위한 스크린을 설치하는 작품이다. 설치물은 4.6*4m 크기의 메쉬 타프, 영상을 재생하는 노트북, 타프를 설치하고 철수하는 행위가 만드는 궤적으로 구성되어있다. 작품은 마치 캠핑을 온 듯 기회주의적인 태도로 펼친 영사의 구조를 통해, 지어진 것과 지어진 곳에 깃드는 것들이 맺는 일시적이며 구체적인 상관관계를 탐구한다. 구조, 재료, 디테일이 재구성된 스크린은 건축물과 특수한 관계를 맺으며 새로운 시공간을 열지만, 이내 홀로 분리되어 날아가 버린다. 이것은 낙관적인 이야기이다.













title 즐거운 남의 집  
type 출판
year 2024

author 이윤석, 김정민
illustration 이윤석
publish 다산북스
editor 이한나
book design 이효진

내가 산 집은 아니지만 어쨌든 내가 사는 집
감히, 빌린 집도 내 집이라 선언한다!

‘민달팽이 세대’. 주택가격 급등으로 청년들이 주택 마련은 꿈도 꾸지 못하고 열악한 주거 환경에서 살아가는 현실을 껍데기 집이 없는 민달팽이에 빗대어 칭하는 말이다. 민달팽이는 집이 없으므로 속살이 훤히 드러나 보이고 사방에 도사리는 위험으로부터 피할 곳이 없다. 점액질 같은 희미한 흔적을 남기면서 항상 어디론가 바삐 이동한다. 오래 머물 안식처 없이 이곳저곳 흔적만 남기고 떠도는 청년 세대의 처지를 대변한다. 그도 그럴 것이 한국의 19~34세 인구 중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가구의 비율은 86.8%(출처: 국토교통부 「2022년도 주거실태조사」). 웬만해선 평생 내 집 마련을 하기 어려울지 모르고 아마 그중 상당수는 ‘하려고 들지도’ 않을 것이다.

회사의 어떤 중년 남성과 나눴던 대화가 기억난다. 그는 나에게 결혼은 했는지, 어디에 살고 있는지 물었다. 회사 근처에서 살고 있다고 대답하니 그는 “윤석 씨는 숙소에서 자취하니 밥도 잘 못 챙겨 먹겠네”라고 말했다. 우리 집을 왜 숙소라고 말하지? 분명 내가 사는 곳은 집이 아니라고 생각했을 것 같았다. 오래 있을 만한 곳도 아니라고 생각했겠지. 집도 아니고 오래 있을 만한 곳도 아닌 숙소에서 밥까지 지어 먹는다는 것이 힘들다고 생각했구나. 애초에 결혼도 안 했으니 밥 차려줄(!) 사람이 없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갑자기 나는 모든 방면에서 미성숙한 존재가 되어버렸다.
_본문 중에서

청년들이 스스로의 힘만으로 착실히 모아 마련할 수 있는 보증금의 크기는 빤하고, 사회가 상상하는 청년의 삶의 크기도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그래서 청년들이 거하는 곳은 ‘온전한 집’이 아닌 빨리 벗어나야 할 과도기적 공간, 아파트를 사기 전까지 잠시 머무는 곳, 그러니까 탈출해야 할 임시 숙소라 여겨진다.
그러나 월세 아니면 전세라는 형태의 빌린 집에 살면서도 이곳이 단순히 다음 역을 위한 정거장만이 아님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있다. 90년대생 건축가이자 세입자인 두 남자, 이윤석과 김정민. 이들은 ‘소유만 부추기는 사회에서 집을 갖지 않고도 즐겁게 살아갈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안고 집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즐거운 남의 집』을 통해 꺼낸다. 2030세대가 쉬이 주택 마련을 할 수 없는 환경임을 인정하면서도 내 집이란 꼭 집을 사야만 가질 수 있는 건 아니라고 분명히 밝힌다. 물리적인 집이 나를 지켜주는 게 아니라 내가 집에 쌓은 정과 녹(綠)과 이야기가 모여 삶을 지탱하는 것이라 말하면서, 그런 의미에서 “빌린 집도 내 집”이라 소리치는 이들의 이야기가 책을 통해 시작된다.

우리들만이 할 수 있는 이야기
우리들이 반드시 해야 하는 이야기가 생겼다


1990년대생 건축가이자 전월세 세입자인 이윤석과 김정민, 이 둘은 유튜브 채널 <서울은 이상한 도시>에서 ‘월세 아니면 전세’ 프로젝트를 통해 2030세대의 거주를 개인적 단위로 조망하며 그들이 남의 집을 어떻게 자기화해서 사용하는지 소개해 왔다. 월세 혹은 전세로 살지만 남들이 정의 내린 모습이 아닌 자신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살아가고 집을 만드는 사람들을 만나 인터뷰했다. 분명 내가 사는 집인데 자꾸만 여기가 ‘내 집’이 아니라고 하는 시선에 저항하며, 인터뷰이들의 이야기에 자신들의 생생한 전월세 거주 경험을 더해 집에 대한 이야기를 책에 가감 없이 담았다. 현실적인 문제와 더불어 청년 세대들이 주거 공간을 통해 자신의 삶을 어떻게 만들어나가고 있는지 기발하고도 새로운 시선으로 보여준다.
건축가라고 하면 으레 이름난 건축물과, 그와 비슷하게 휘황찬란한 집에 사는 모습을 떠올린다. ‘집은 나를 표현하는 도구’라 말하며 자신만의 맞춤 공간에 수백수천만 원짜리 가구를 들이는 사람들. 그래서인지 전월세 세입자라는 정체성과 가장 멀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런데 이윤석과 김정민이 집에 관해 나누는 이야기는 이상하게도 조금 다르다. 낡은 집의 주름을 조명으로 가리는 마음, 창문의 방범창과 가림막이 내포하는 힘의 방향, 자연이 특정 계층만 소유할 수 있는 명품이 되어버린 현상 등을 논한다. 집이 소유와 투자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지금 사회에서 이러한 집 이야기들은 어쩌면 오히려 현실과 가장 동떨어진 낭만처럼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들이 꿈꾸는 것은 낭만이 아니라, 청년들의 평범한 바람이 마땅히 현실이 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아닐까. 지금의 집은 ‘나를 표현하는 도구’로 보기에 너무나 비싸고 그래서 집은 나를 담는 그릇이 될 수 없는 노릇이다.

“우리가 집은 못 샀지만, 2년간 즐겁게 살 자격 정도는 산 것 아닐까?”
빌린 집에서 산다는 것의 기쁨과 슬픔

‘오늘의 집’이나 SNS에서 흔히 보이는 집과는 다르게 우리의 창문 너머로 보이는 것은 울창한 나무나 파란 하늘 대신 옆집의 콘크리트 벽이다. 다른 집들에 의해 잘려나간 조각 빛이 겨우 집 안으로 들어온다. 그마저도 방범창을 지나온 빛은 마치 감옥의 쇠창살 모양을 하고 있다. 인테리어는 또 어떨까. 미디어에선 ‘체리 지옥’이라는 표현을 내세워 인테리어 공사가 어떻게 체리 몰딩으로 뒤덮인 지옥을 세상에서 가장 하얀 집으로 변모시키는지 보여준다. 그에 반해 우리의 예산 안에서 고를 수 있는 집은 늘 알록달록하다. 지난 세대의 트렌드였던 옥색 몰딩과 걸레받이, 여기가 텔레비전을 걸어야 하는 자리임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는 거실 한편의 아트월, 2000년대 유행했던 꽃무늬 문짝의 냉장고, 그리고 그것과 똑같은 무늬의 포인트 벽지. 그것들이 미워 페인트칠을 하거나 시트지라도 붙여보려 마음먹지만 “퇴거 시 원상복구”라는 특약에 곧 발목을 붙잡히고 만다.
빌린 집에서 산다는 건 어떻게 보면 즐겁지만은 않은, 서러운 순간들을 눈앞에 두고 사는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2년짜리 시한부 거주자에게도 2년간은 즐겁게 살 자격이 있는 것 아닐까? 『즐거운 남의 집』에는 제 나름의 방법을 연구하면서 ‘그럼에도’ 즐겁게 살아가려는 이들의 이야기가 가득하다. 다른 건물에 가려 조각난 햇빛뿐이지만 초록 식물을 들여 분명한 행복의 대상을 만들고, 이전 세대의 트렌드가 끈질기게 괴롭혀도 그 안에서 특별한 구석을 찾아내거나, 거실에 마땅히 놓여야 할 텔레비전과 소파 대신 친구들과 모여 앉을 큰 식탁을 두는 식으로. 내가 산 집은 아니지만 어쨌든 사는 동안은 온전히 내 집이니까. 그리고 이러한 고민들이 모여 나만 아는 삶의 증거가 된다.
집을 부동산이 아닌 정을 붙이고 이야기를 쌓아가는 곳이라고 생각한다면 빌린 집도 충분히 아늑하고 즐거운 내 집이 된다. 뒤돌아보면 물리적인 집이 없는 탓에 우리는 오히려 스스로가 스스로의 단단한 집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단단한 껍데기가 깨지는 순간 집이 사라지고 마는 달팽이보다, 집은 없지만 그 덕에 자기 스스로를 지켜온 민달팽이의 삶이 실은 더 단단한 건 아닐까.


글 : 이한나 편집자

알라딘에서 구매하기 🔍
교보문고에서 구매하기 🔍
예스24에서 구매하기 🔍